VTP(VLAN TRUNKING PROTOCOL) |
|
-vlan의 정보를 공유하고 동기화한다. 한 대의 스위치에서 조작하면 다른 모든 99스위치에 모두 설정이 된다. -vtp를 쓰기 위한 조건은 3가지를 맞추어야 한다. |
|
VTP 사용하기 위한 조건 3가지 |
|
1.VTP DOMAIN |
= 100대가 동기화 되어야 하는 스위치(100대의 스위치가 모두 시스코 사 꺼여야 한다.) |
2.VTP VERSION |
=trunk port 설정? |
3.VTP PASSWORD |
=도메인 이름은 동일한데 비밀번호가 같지 않다면 =따라서 비밀번호를 설정할 때에 모든 스위치에 비밀번호가 같도록 해야 한다. |
VTP 모드 결정
-SERVER : vlan 만들고 수정 삭제 전달 가능
-CLIENT : VLAN을 만들고 수정 삭제 안된다. 전달 가능
-TRANSPARENT : vlan을 만들고 수정 삭제 된다.
(나한테는 영향을 주지만, 다른 vlan에 전달이 안된다. 확장을 대비해서 만든다.)
VTP
summary advertisement
-VTP의 REVISION NUMBER를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.
subset advertisement
-실제 vlan정보를 담고 있는 메시지
advertisement request
-나한테 없는건데 달라라는 요청
#서버가 만든 요약정보네라는걸 뭘로 확인하느냐 configuration revision number를 보고 확인/결정을 한다.
number 기본값 은 1이고, vlan을 만든순간 number가 2로 된다.
2를 보면 업데이트 되었다고 생각하고 다른 곳의 값도 2로 바뀐다.
서버에서 만들어진 정보를 동기화하기 위해 configuration revision number로 확인한다.
'신입개발자로 취업하기까지 > 네트워크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8. ROOT BRIDGE 및 관련 개념 설명 (0) | 2020.07.22 |
---|---|
6. VLAN 및 TRUNK 개념 (2) | 2020.07.22 |
5-2. 스위치 3대기능_looping, STP (0) | 2020.07.22 |
5-1. 스위치 3대기능_learning (0) | 2020.07.22 |
4. 공인IP, 사설IP 설명 및 그와 관련된 설명 (0) | 2020.07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