Looping
-위의 사진을 보시면 두 호스트 사이에 스위치 또는 브리지가 두 개 있습니다.
즉 하나의 호스트에서 다른 호스트로 가는 경로가 두 개 이상 만들어진다는 겁니다.
보통 이렇게 구성하는 것은 하나의 경로가 끊어져도 다른 경로를 쓰기 위한 것인데
이렇게 구성을 하게 되면 가장 큰 문제, 즉 루핑이 발생하게 됩니다.
LOOPING 발생시
-looping이 발생한다는 것은 flooding이 발생한다는 얘기(cpu사용량이 많아진다.)
해결방법 - spanning tree protocol
(이중화된 스위치 내에서 무한 반복으로 looping이 일어날 때 해결방법은?)
(참고 - https://emotionofengineering.tistory.com/15)
-포트를 일일 빼고 노드를 확인해야 한다.
-해결방법 : spanning tree protocol
BPDU |
-출발지에서 통신을 하고자 할 때 보내는 데이터=내가 무언가를 보냈을 때 그 데이터를 뭐라고 부르는 것 -BPDU(Bridge Protocol Data Unit)는 브릿지끼리 서로 STP 관련된 정보를 교환하기 위한 프레임으로 root bridge BID와 sender BID, root path cost, sent port ID 필드 등으로 구성 -bridge protocol data unit(bpdu) : 2초에 한번씩 데이터를 보낸다. -bpdu(데이터)안에 bid를 포함하고 있다. |
스위치에서 각각의 bid를 받아 각각의 bid를 가지고 있다. #루프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1번,2번 3번 순서대로 전달하게 할 때 -bid 비교 |
|
BID |
-BID(Bridge ID)란 2바이트의 브릿지 우선순위 값과 6바이트의 브릿지 MAC주소로 이루어진 브릿지 식별자(ID) –priority와 mac 주소? =>priority=4bit(p) + 12bit(vlan-id)=16bit =>mac주소 = 000000000000 (=맥어드레스, 총 48bit=6byte) |
스위치에서 각각의 bid를 받아 각각의 bid를 가지고 있다. #루프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1번,2번 3번 순서대로 전달하게 할 때 -bid 비교 #루프가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서 1번(32768.111111),2번(32768.222222), 3번(32768.33333) 순서대로 전달하게 할 때 각 1번 마다 32768 인데 모두 32768이니 맥주소가 제일 작은 것을 보고 root bridge를 판단을 해야 한다. |
|
root bridge |
=대장 스위치=priority 값 + 맥주소가 제일 작은 것 = 예제32768(현재 값은 이렇다).111111 -대장은 마음대로 데이터를 내보낼 수 있어야 한다.(flooding 가능) designated=root 맞은편은 designated |
- 브릿지 관리자는 브릿지 우선순위 값을 변경하여 root bridge로 선별할 브릿지를 정할수 있다. * root path cost : 현재의 브릿지에서 root bridge까지 전송하는데 소요되는 비용. 초기에는 자기 자신을 root bridge로 설정하기 때문에 값을 0으로 설정한다. * port ID : BPDU가 전송된 포트 ID |
|
root port |
-루트 브릿지가 아닌 브릿지 마다 루트 브릿지에 가장 가까운 포트를 root port로 선별 -예제 100M와 1G 중에 1G의 cost 값이 낮다는 의미는 하기와 같다. =링크의 비용 값과 해당 포트로 전송 받은 BPDU의 root path cost 필드 값을 더하여 가장 작은 값울 root port로 한다. |
designated port |
-브릿지 사이에 연결된 세그먼트에서 더 작은 root path cost를 가진 포트를 designated port로 선별 -루트 브릿지의 모든 포트는 root path cost 값이 0이기 때문에 모두 designated port가 된다. -designated=root 맞은편은 designated |
- root port, designated port 외에 브릿지 포트들은 nondesignated port가 되며 논리적으로 차단 된다. (blocking) |
|
cost 값 |
-bandwidth(대역폭)을 보고 결정한다. *bandwidth=1초에 몇 1비트를 내보내냐 1초에 100bit= 100개의 데이터를 보낸다. cost 표준값 10M – 100값 100M - 19값 1G – COST 4값 값이 작을수록 좋은 길 -root 포트를 따라가면 대장스위치가 있다.
cost 비교 2번-#to root bridge=non r.b to r.b 2번(32768.222222), 3번(32768.33333) = non root bridge 2번이 1번으로 바로 갈 때 3번을 통해 돌아서 갈 때 비교를 한다면 cost 비교라고 한다. |
기타 |
#2960 3560 4503 6506 스위치 숫자가 클수록 스위치기능이 좋다. 맥어드레스는 제일 먼저 만들어진 것일수록 값이 낮다고 본다. 그래서 그러한 부분을 막기 위해 |
STP 브릿지 4가지 상태 변화
STP 브릿지 4가지 상태 변화 -스위치가 초록색까지 되기 까지 50초(forwarding delay time) -브릿지는 전원이 켜지면 blocking 상태가 되었다가 listening, learning 상태를 거쳐서 최종적으로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는 forwarding 상태로 상태 변화를 하게 된다. |
|
상태 |
상태내용 |
disable |
= 전원이 꺼진 상태 |
blocking |
= 전원이 켜진 상태 (blocking에서 listening 까지 20초) |
listening |
- (blocking에서 learning까지 넘어가는데- 15초) -주황불 깜박깜박 ->pc 꺼져있다가 켜면 listening 단계에서 시작된다. #주변 스위치의 정보를 받아들이는 것도 listening에 포함된다. |
learning |
= 주소학습한다는 개념이 아니고 초록색이 되기까지의 상태정도 (learning에서 forwading까지 넘어가는데- 15초) |
forwarding |
(초록색불) = 데이터를 내보낼 수 있기까지의 시간(초록색이 되기까지의 상태정도) |
면접대비 |
역할(role) |
상태(state) |
Designated (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상태) |
designated가 forwarding할 수 있음 |
root (데이터를 보낼 수 있는 상태) |
designated가 forwarding할 수 있음 |
'신입개발자로 취업하기까지 > 네트워크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7. VTP (VLAN TRUNKING PROTOCOL) (0) | 2020.07.22 |
---|---|
6. VLAN 및 TRUNK 개념 (2) | 2020.07.22 |
5-1. 스위치 3대기능_learning (0) | 2020.07.22 |
4. 공인IP, 사설IP 설명 및 그와 관련된 설명 (0) | 2020.07.21 |
3. OSI 7계층 (0) | 2020.07.21 |